더불어 사는 세상/시민사회(392)
-
부마민주항쟁 36주년 기념식에서^^
그날로부터 36년 세월이 흐르고, 부마민주항쟁 특별법 제정으로 당시 항쟁 피해자들의 명예회복 보상을 위한 접수가 진행중이다 79년 10월 18일! 마산은 박정희 유신독재 타도의 민주화 투쟁이 가열차게 진행되었다. 공수부대가 투입되면서 시위는 소강상태로 접어들었고, 마산경찰서에는..
2015.10.19 -
제65주기 8차 창원지역 합동위령제 및 추모식^^
"하늘이여 땅이여"라고 통곡하며 후손들이 국화꽃 한송이를 들고 올리는 위령제는 참석한 이들의 눈시울을 뜨겁게 만들었고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피해자들의 명예회복과 진상규명 그리고 피해배상은 65주기가 되도록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9월 5일 오후 1시~ 3시 옛 마산형무소 자리..
2015.09.05 -
일본군 '위안부' 창원지역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및 기념행사^^
"평화의 소녀상", "다짐비"로 이름 불려지고 마산을 찾는 수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며, 인증샷도 하게 될 또 하나의 명소가 탄생한 것 광복 70주년을 맞이한 올해는 유난히 영화 <암살> 처럼 친일파, 일제잔재 청산 열기가 뜨겁다. 이곳 창원시 마산 오동동 문화의 거리 일원 문화광..
2015.08.28 -
광복 70주년 <조국의 광복 나의 광복> 퍼포먼스^^
'광복 70주년 기념 퍼포먼스' 공연은 보는 이들의 심금을 울렸고 진정한 광복의 의미에 대하여 고민하게 만들었다 광복 7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민들의 가슴은 설레기는 커녕 분통이 치밀 지경이다. 강도일제의 강제징용, 강제징병, 일본군 성노예 등 전쟁범죄에 대한 사죄는 이루어지지 ..
2015.08.16 -
창동시민대학 김용기교수의 사회적 기업 인문학강좌^^
김용기교수(경남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의 "행복한 살림살이 사회적 경제의 도전과 모색"을 주제로 한 인문학강좌 제1강이 열려 창동시민대학의 인문학강좌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마산 창동예술촌 도시재생어울림센터에서 개최돼 적잖은 공부가 되고 있다. 지난 11일엔 김용기교수(경..
2015.08.14 -
석전1동 재개발 관리처분인가 이후는? ^^
그간 조합측과 비대위측의 대립, 갈등 양상은 감정가와 보상가를 놓고 줄다리기였지, 재개발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었다 처음엔 그랬다...낙후된 동네발전, 재산가치 상승을 위하여 아파트 짓자, 조합 만들자, 그래서 재개발하자고. 물론 반대도 있지만 당시 마산의 30여개 재개발, 재..
2015.06.22 -
6월항쟁 정신계승 28주년 기념식^^
박종철, 이한열...젊은 그들의 꽃넋을 누구보다 뜨겁게 껴안아야 할 대학생들이 안보여 자못 씁쓸하였다 87년 6월항쟁 28주년 기념식이 어제 저녁 창원 상남 분수광장에서 의미심장한 분위기 속에 열렸다. 작년 6월 10일엔 마산 창동 아고라광장에서 기념식을 가졌다. 그 당시 항쟁 주역들..
2015.06.11 -
석전1동 재개발 어떻게 되나요? ^^
최근 감정평가에 의한 보상가가 공개되자 반대 주민들의 극심한 반발에 부딪혀 비대위의 속보성 벽보가 동네 곳곳에 붙어져 있어 동네발전과 주민 재산가치 상승을 위해 시작된 석전1동 재개발이 감정가와 현실보상가의 현격한 차이로 말미암아 8년째 표류하고 있다. 창원시 마산 회원..
2015.05.24 -
경남도민일보 독자와 기자의 만남^^
"독자와 기자의 만남"이란 집단미팅 시간은 의외였고 흥미진진한 감마저 들었다 4월의 마지막 밤, 창동 도시재생 어울림센터에서 <제2회 경남도민일보 독자와 기자의 만남> 행사가 열려 자못 뜻깊었다. 예전에 "독자모임" 주최 초청강연은 몇 차례 가 봤지만 이처럼 "독자와 기자의 만..
2015.05.01 -
마산 창동 4.16 1주기 촛불행진^^
촛불을 든 시민 학생들의 요구가 큼지막히 쓰여진 샛노란 펼침막과 고등학생들의 높은 참여율이 무엇보다 눈길을 끌었다 세월호 참사 1주기가 되는 4월 16일! 저녁 7시 시민모임 주최로 마산 창동 사거리 -코아 앞 - 아고라광장 코스로 희생자 추모와 분노의 촛불행진이 펼쳐졌고, 창동예..
201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