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이바다(7)
-
저렇게 행복한 가정이었는데
저렇게 행복한 가정이었는데 바닷가에 비라도 내리면이 비가 너였으면금요일엔 돌아오렴간절히 기다리던세월호 유민아빠가 간직한추석 한때 사진 한장 저렇게 행복한 그 시절이무척 그립겠지요괭이바다 위령제에서 뵜던그날의 목소리가빗소리처럼 들려오는 듯한가위엔 더 많이유난히 보고 싶을텐데 강산이 한차례 바뀌었어도진실은 인양되지 않았고또 한번의 명절을맞는 유가족의 차례는별들의 집에서추석 상차림을 하셨군요 저 사진 한장만 보아도절로 행복해진다는고향집 옛 추억의 풍경별이 된 꽃넋들의즐겁고 아름다운 기억처럼밤하늘에 반짝입니다 가장 슬픈 날일 수도 있는명절에 슬픔을 딛고가족과 함께 행복한 한가위되시라 인사 전하는유민아빠의 마음이여건강 잘 챙기시고끝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2024.09.18 -
국화축제 밤바다를 둘러보고
국화축제 밤바다를 둘러보고 공공근로 계약직들이 가꾼 마산의 국화 축제날 모처럼 둘이서 바닷가로 야경을 보러 외출했다 밤바다는 괭이울음소리도 없이 침묵에 빠졌지만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한국전쟁 전후 자행된 민간인학살 집단수장지 아픈 세월의 기억을 남몰래 떠올리게 되더라 해양누리공원이야 곱지만 생명의 바다를 매립한 곳 창원시로 통합된 마산 지나온 발자취를 못잊지 무슨 애타는 그리움이기에 이 가을 마산 앞바다에 국화꽃이 저리도 피었나 행사장 천막 부스에 들러 국화비누 구입하고 아구주먹밥 사 먹으며 밤바다를 배경으로 국화꽃 옆에서 사진 한장 남기고 임항선 길로 걸어서 집으로 돌아왔다 함께 둘러본 내 마음 같아선 천만송이 국화꽃이 촛불이라면 축제의 계절에 우린 해방춤을 덩실 추겠다
2023.11.02 -
해원상생무에 괭이바다가 울고
해원상생무에 괭이바다가 울고 한국전쟁 70주년 휴전선은 여전히 총부리 맞대고 새천년 남북정상이 맺은 언약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다시 파탄나게 생겼건만 억울한 넋들이 잠든 저 괭이바다에서 올리는 마산민예총 춤꾼의 해원상생무가 애절하여라 그해 미군 국군이 저지른 민간인학살 만행은 아직도 한이 풀리지 않았어라 진상규명 명예회복 피해자 국가배상은 더디고 이제 눈물마저 말랐어라 화살고지 유해발굴처럼 남북공동조사 그날은 얼마나 지나야 이루어질까 한미동맹 전쟁훈련 대북전단 풍선이 몰고온 대결 긴장의 먹구름은 급기야 한반도를 포화 속에 밀어넣고야 말 것인가 13차 창원유족회 합동위령제 속울음 삼키는 유족들 더 늦기 전에 전원 무죄 배상 특별법을 통과시켜 해원하라 푸른바다 물결치는 춤사위 하얀 국화꽃 한송이여라
2020.06.15 -
구산면 괭이바다 선상추모제에서
구산면 괭이바다 선상추모제에서 괭이바다 울음소리 들리는가 한송이 국화꽃을 소원을 실은 종이비행기를 학살 그날의 현장에 날려 보내는 사무친 한을 뉘라서 풀어주랴 내년이 70주기라는데 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국가배상은 아직까지 소식이 없는가 모진 고통의 세..
2019.06.09 -
제67주기 한국전쟁 민간인희생자 10차 창원유족회 합동추모제^^
연좌제의 족쇄에 고통받은 피해자 유족들의 아픔은 오래 되었고, 전쟁의 야만적 학살이 남긴 상처는 아물지 않았다 한국전쟁 이후 67년 세월이 흘렀어도 당시 군경과 미군에 의한 민간인학살에 대한 진상규명, 피해자 배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자 특별법 제정으로..
2017.06.24 -
한국전쟁민간인희생자 창원유족회 9차 합동위령제 및 추모식^^
창원유족회(회장 노치수)가 7월 9일 9차 합동위령제와 추모제를 선상과 진해루에서 통한의 심정으로 개최해 자못 의미심장한 날이었다 1950년 7월 1681명의 억울한 민간인들이 수장된 괭이바다에 다녀왔다. 바람소리 파도소리가 어우러져 고양이 울음소리가 난다는 이곳은 마산만 구산면 ..
2016.07.09 -
<레드 툼> 상영회^^
<레드 툼>은 구자환 감독이 10년간 자비로 공들여 제작한 다큐멘터리 형식의 영화여서 더욱 값지게 다가왔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의 사례 중 하나인 보도연맹 사건을 다룬 <레드 툼>(구자환 감독) 다큐영화 상영회가 1월 17일 저녁 경남도민일보 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상영..
2014.01.18